 |
▲ 예장통합 총회 모습 |
통합의 이단특별사면과 철회, 통합과 고신의 인터콥 결의 유지, 합동의 새로운 단체 이단 결의, 합신 이대위의 청원 모두 연기 등 이단에 관련해 유독 민감한 문제가 많았던 각 교단 총회였다.
공감대
통합의 ‘이단특별사면 철회’와 합신의 ‘6개 청원 일 년 연기’는 총대들과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한 결과다. 이단의 결의와 해제는 예민한 문제다. 전문가들의 투명한 연구과정을 통해 대다수가 납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특사위 결정에 절대 다수가 반대했던 이유는, 연구 과정부터 결과에 이르기까지 상식선에서 동의할 수 없는 지점이 많았기 때문이다. 당초 특사위원장이 돌연 사임했고, 이대위의 연구결과는 특사위결정과 상당히 상이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논란이 된 부분은 ‘사면 후 교육’이었다. 이단이 돌아온다는 데 막을 이유는 없다. 하지만 순서가 잘못됐다. ‘사면 후 교육’이 아닌 ‘교육 후 사면’이 되었어야 했다. 이단이 잘못된 가르침을 전파한 것을 회개하고‘앞으로 2년 간 교육을 성실히 받겠습니다’라고 했다면 총대들이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전국신학대학 교수들까지 나서서 반대성명을 발표했을까? 계도가 목적이었다면, 더더욱 교육 후 사면 절차를 밟아야 했다.
합신은 총회에서 이대위의 연구결과를 두고 왈가왈부하지 않았다. 내용의 옳고 그름을 따질 새가 없었다. 청원을 일 년간 연기하자는 총대들은 결의 대상자들을 상대로 공청회를 하지 않았다고 문제 삼았다. 합신 이대위원장 유영권 목사는 기자에게 “이단 결의 과정에서 안전장치를 마련하길 원한다”는 총대들의 정서를 전했다. “강의나 저서를 통해 본질적인 사안에 있어 명백하게 이단성이 드러난다면 공청회가 불필요하다”는 합신 이대위의 입장은 총대들의 민심을 반영해 수정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더 발 빠른 대처 필요
한국은 전 세계에서 땅덩어리 대비 이단 사이비가 가장 많은 나라라고 한다. 지금도 이단사이비는 어디선가 우후죽순 발생해 피해자를 양산하고 있다. 일 년에 한 번 연구내용을 보고하고 결의하는 총회 구조상 이단을 신속하게 공표하고 대처하기란 쉽지 않다. 또한 통합의 특별사면 문제로 ‘이단’이라는 단어가 총대들 입에 오르내리긴 했으나, 이단문제가 큰 관심사가 아님을 총회를 출입할 때마다 느낀다.
신천지, 하나님의교회 등 직접적으로 교회와 맞부딪히는 이단 외에는 정보나 자료가 좀처럼 공유되지 않는 현실임을 부정할 수 없다. 일례로 합동은 이번 총회에서 홍혜선씨와 신옥주씨(은혜로교회)를 결의했다. 홍혜선씨는 2012년 12월 전쟁설로 교계를 어지럽혔다. 벌써 4년 전 이야기다. 은혜로교회 신도들은 다수가 피지로 떠나버렸다. 이제라도 결의해서 다행일까? 아니면 뒷북치는 일일까?
합신에서 청원 예정이었던 문제선 목사는 이단으로 결의되어 있는 여호와 새일(이유성)의 주장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데도 주요 기독 일간지에 버젓이 등장하고 있다. 이윤호 목사는 가계저주론 주장을 철회한다며 회개의 제스처를 취해 통합과 합신에서 결의를 해제했지만, 일 년 만에 동일한 사상을 담은 책을 펴내 한국교계를 기망했다. 결의를 해제한 합신과 통합은 2년 동안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교계는 이단 피해자가 늘어가는 추세에 발맞춰 신속하고 발 빠른 이단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인터콥
통합 특사위 문제로 묻혀 버렸지만, 통합과 고신에서 인터콥에 대한 결의 유지는 또 하나의 이슈였다. 결과적으론 인터콥에 대한 ‘참여금지’결의가 두 교단 모두 유지되었다. 한 가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인터콥이 극단적인 세대주의 종말론을 여전히 주장하고 그간 아니면 말고 식의 거짓말을 해왔던 정황이 줄줄이 드러남에도 해제를 주장한 인사들이 있다는 점이다. 선교가 중요하지만, 선교라는 이름으로 사이비성 종말론 전파와 부도덕함이라는 문제를 덮을 순 없다.
이단 관련 굵직한 이슈가 많은 총회였다. 그러나 또 한편으론 대부분 교단이 이단문제를 다루지 않았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단 피해자 200만 명 시대라 하는데, 각 교단 총회는 그에 합당한 이단대처를 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하지 않을까?
< 저작권자 © 현대종교. 무단전재-재배포금지 >